국립민속박물관, 김시인·이우섭 삼년상 보고서

2009년 선종한 김수환 추기경 장례식을 직접 참여 관찰한 '의궤'(儀軌)형 보고서가 나왔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은 현대 장례의궤작성의 일환으로 김 추기경 선종과 안동 의성김씨 학봉종택 14대 종손인 소운 김시인 삼년상, 그리고 김해의 전주이씨 화재 이우섭 삼년상 보고서를 함께 발간했다고 15일 말했다. 

이들은 모두 민속박물관이 장례식에 직접 참여해 관찰한 성과물이라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특히 소운과 화재의 삼년상은 한국 상례문화의 전통으로 정착한 유교식 상례를 예법에 따라 치러졌다. 보고서는 이런 삼년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현장감 있게 기록한 최초의 보고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박물관은 자평했다. 

또 김 추기경 선종 보고서는 운명부터 연도(煉禱), 위령미사, 장례미사, 추도미사까지 50일간의 장례 및 추모행사 전 과정을 직접 조사하고 현장감 있게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이번에 나온 '김수환 추기경 선종'은 한국 천주교 장례문화를 기록한 의궤 형식을 띠고 있다. 

김 추기경 생애부터 50일간의 장례 과정과 추모행사, 사회 각계각층에서 보낸 메시지, 장례 당시 추모 열기 등의 현장 모습이 정리됐다. 

보고서는 김 추기경 장례식이 천주교 장례문화와 한국의 전통상례문화가 융화되어 한국적 천주교 장례가 된 대표적인 사례라고 박물관은 평가했다. 

창 형식의 연도, 습과 염, 명정, 매장 방법, 우제, 문상 때 절하는 모습 등은 천주교와 한국의 전통문화가 융화된 새로운 모습이라는 것. 

또한 장례기간 중 추모행렬과 전·현직 대통령을 비롯한 각계각층 인사들이 보낸 메시지와 해외 언론의 취재 열기도 담았다. 

현대판 한국 상례의궤 작업의 첫 걸음 중 하나인 '소운 김시인 삼년상'은 지금까지 관념적으로만 알려진 삼년상의 실체를 고스란히 기록한 최초의 보고서이자 종가의 유구한 전통에 입각한 삼년상을 최초로 기록한 보고서라고 박물관은 말했다. 

조사 결과 이 상례는 고인의 사회적 위상에 따라 유림장(儒林葬)을 하고, 가문의 전통에 따라 치른 삼년상으로 드러났다. 

이번 조사를 통해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학봉 종택의 예법을 읽을 수 있었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 

화재 이우섭의 삼년상 또한 비슷한 방식으로 기록했다. 

IMG_5164.JPG

     소운 김시인(召雲 金時寅)종손 2008. 2. 3(음력 12.27) 별세(91세) (2.9 발인, 7일장)

(서울=연합뉴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