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5142.JPG
                        발인제 준비중 상주들이 상여 뒷편에서 곡(哭)하는 장면
IMG_5145.JPG
       발인제(遣奠견전 또는 永訣式)를 위하여 상주들이 제사상이 마련된 상여앞으로 이동
IMG_5146.JPG
                                발인제(發靷祭)를 위하여 상주들 대기중인 모습 
IMG_5144.JPG
        金昌鈞(가운데 흰색도포 착용)내앞 大宗孫과  金時鴻(갓쓴분)祝官께서 의견교환
IMG_5147.JPG
                            門中 어른분들께서 발인제에 참석 대기중인 모습IMG_5149.JPG
                         집례(執禮)가 술을 따르고 향불을 피우면서 발인제 진행중 
IMG_5150.JPG
                                           喪主들의 오열(嗚咽)속에 발인제 진행중
IMG_5151.JPG
  金時鴻(雲巖 14代)축관의 독축으로 발인제 진행중 (축관좌측 金大晃님 梁山, 우측 金棕煥님 창부)
IMG_5152.JPG
                                金時鴻(雲巖 14代)축관의 독축(讀祝)으로 발인제 진행중
IMG_5153.JPG
                    상주들의 오열속에 발인제 종료(상주이하 모두 곡하며 두번절하고 철상) 
IMG_5154.JPG
   방상(方相)←여복(女僕)←시자(侍者)←명정(銘旌)←만장(輓章)←영여(靈轝)←상여
  喪轝 좌 · 우 삽)←상주←복인←조객
順으로 (삽→불삽, 운삽)IMG_5155.JPG
           선소리꾼의 선도로 고인이 생전에 정성들여 가꾸어온 종택정원을 떠나면서
IMG_5156.JPG
화려하게 장식된 꽃상여는 상두꾼들에 의해 만년유택(萬年幽宅)으로 발길을 옮기며
IMG_5157.JPG
                  영여(靈轝)를 앞세운 상여꾼들은 차마 떨어지지 않는 발길을 옮기며
IMG_5158.JPG
                         영여(靈轝)를 앞세운 상여(喪轝)는 솟을대문을 향하여 
IMG_5159.JPG
                            영여(靈轝)를 앞세운 상여는 솟을대문을 나서면서
IMG_5160.JPG
꽃상여는 솟을대문을 나와 돌아서서 정든집 사랑하는 가족들과 아쉬운 작별인사
IMG_5161.JPG
                 상여꾼의  떨어지지 않는 발걸음을 선소리꾼은 빨리가자 재촉하네 
IMG_5162.JPG
             상주들과  정든가족들의 오열(嗚咽)속에 상여는 훌적 대문밖을 떠나고
IMG_5164.JPG
운삽은 우측에 불삽은 좌측에서 상여를 인도(운삽:구름의미 영혼은 하늘로, 불삽: 넋은 땅으로)
IMG_5165.JPG
  학봉선생구택(鶴峰先生舊宅) 솟을대문을 뒤로하고 상여는 발길을 재촉하는데....
IMG_5166.JPG
명정(銘旌)과 輓章(輓詞, 輓詩)을 앞세우고 장례행열은 종가앞 신작로로 올라서고IMG_5167.JPG
             상여가 떠나는 뒷모습을 바라보고 있는 일가 친지 조문객들의 모습
IMG_5170.JPG
                                            상여가 떠난 종가의 뒷모습
IMG_5168.JPG
소계서당(邵溪書堂)은 학봉11대 종손 서산 흥락(西山 興洛)공의 강학지소로 1762년 8대종손 광찬(光燦 , 영조38년)공께서 현위치에 있던 종가가 잦은 침수로 소계서당 자리로 이건 하였다가 200여년이 지난  1964 년 고인이 되신 14대종손 시인(時寅)공께서 현위치에 집터를 높여 재이건 중창 하였고,  좌측 건물은 구종택 사랑채로 이건하지 않고 소계서당으로 사용 하였으며 보수 수리 하였음
                                                                              ※ 소계서당 바로 뒷편에 고인의 유택이 마련됨
IMG_5169.JPG

                        앞에서 두번째 만장을 들고 계시는 분이 청류회청년회 김윤호 회원님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