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st bowl

김창현
서브 프라임 사태 이후 미국을 걱정하는 글 입니다.


  Dust Bowl




현재 미국이 중병을 앓고 있는 경제 상황에 대해 한 경제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이번 불황은 대공황이 우리의 아버지들과 할아버지들에게 가한 것과 같은 상처를 우리 소비자 세대에게 남기게 될 것이다.”

대공황 이래 최악의 경기침체로 전 국민이 몸살을 앓고 있는 요즘 생각나는 소설이 존 스타인벡이 퓰리처상을 받은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다. 그는 이 소설을 대공황의 말미인 1939년에 썼는데 1930년대 은행과 가뭄에 의해 농토와 집을 잃은 미 중서부 출신의 이주 농장노동자들의 고난과 불굴의 생존 의지를 그렸다.

주인공 조드 일가는 현존하는 최고의 컨트리가수 멀 해가드의 노래 ‘머스코기의 오키스’(Okies
from Muskogee)로 잘 알려진 오키스다. 오키스는 흙바람으로 유명한 더스트 보울 오클라호마 출신의 이주 농장노동자를 천박하게 부르는 이름.

‘분노의 포도’는 대공황 때 살 곳을 잃은 오키스인 조드 일가가 남부여대해 젖과 꿀이 흐르는 약속의 땅인 캘리포니아를 향해 가는 동안 겪는 굶주림과 차별 대우와 투쟁 그리고 시련을 통한 인간성에의 자각의 얘기다. 책은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기소하고 사회주의 이념에의 요구를 표현하면서 아울러 사람과 흙에 대한 사랑을 강조한 내용으로 미 역사상 ‘탐 아저씨의 오두막’ 이후 가장 논란거리가 된 바 있다.

스타인벡은 글을 쓰기 위해 직접 오클라호마에서부터 캘리포니아까지 오키스와 함께 여행하면서 농장노동을 했는데 오키스의 대장정은 성경의 출애굽기를 생각나게 만든다. 조드 일가 중 중심인물은 살인죄로 4년간 옥살이 끝에 막 출소한 탐. 글은 무지하고 개인적인 보잘 것 없는 소작농 탐이 고난의 여정을 통해 비로소 개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람들 간의 연대라는 사실을 깨달으며 내면적으로 재생하는 얘기이기도 하다.

소설이 강조하는 점은 ‘We Are the People’(우리가 사람들)이라는 것으로 조드 가족의 기둥인 탐의 어머니 마는 소설 말미에 이렇게 독백한다. “우리는 계속해 나아갈 게야. 우리야말로 생존하는 사람들이지. 누구도 우리를 쓸어버리지 못해. 우리는 영원히 나아갈게야. 우리가 사람들이기 때문이지.”

소설은 출애굽기 외에도 성경의 내용과 비슷한 데가 여럿 있다. 조드 일가와 함께 여행하는 믿음을 잃은 전직 시골 목사 짐 케이시는 예수의 상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는 도중에 착취 받는 노동자들을 규합해 노조를 결성하려다 경찰에 맞아 죽는다. 그의 죽음은 예수의 죽음과도 같은데 탐은 짐의 죽음을 통해 인간적인 각성을 하게 된다.

특히 소설의 마지막 장면은 눈물이 나도록 격한 감동을 준다. 아기를 사산해 반 실성하다시피 한 탐의 여동생 로샤산이 헛간에서 굶주림에 지쳐 쓰러진 남자의 입에 퉁퉁 부은 자신의 젖을 물려 허기를 채워 주는 모습이 마치 마돈나의 모습을 연상시키듯이 성스럽고 아름답다.

‘분노의 포도’는 글이 쓰여진지 70년이 지난 지금 대량실직과 주택차압으로 고통당하는 암울한 상황에서 우리들이 지켜야 할것과 함께 고난을 통한 내면 각성을 일깨워주는 지침서와도 같다.

소설은 출간된 이듬해 폭스에 의해 영화(위 사진)로 만들어졌다. 존 포드(영화로 오스카상 수상)가 감독하고 헨리 폰다가 탐 조드로 나오는 불후의 명작이다. 진지하고 강건하며 웅변적인 연출과 그렉 톨랜드(‘시민 케인’)의 극적 충격이 강렬한 혁명적인 기록영화식 흑백촬영 그리고 폰다와 마역의 제인 다웰(영화로 오스카 조연상 수상)의 뛰어난 연기 등이 어우러져 내놓은 경이로운 작품이다.

영화가 사회문제를 고전적 포토플레이로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정직한 작품으로 싸구려 감상이나 섣부른 사회 비판을 삼가고 있다. 포드는 비극을 비극으로만 묘사하지 않고 비록 땅과 집을 잃었으나 감정과 영혼이 건재하고 미래와 아메리카에 대한 변치 않는 믿음을 지닌 조드 일가를 통해 비극을 낙관적인 것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그리고 영화에는 미국 민요 ‘홍하의 골짜기’가 자주 흐르면서 작품에 우수가 깃든 서정미를 채색하고 있다.

촬영은 스타인벡의 고향인 북가주의 채소와 과일 생산지인 소도시 살리나스에서 했다. 나는 20여년 전에 이곳을 방문했었는데 온 동네가 스타인벡을 신주 모시듯 하고 있었다.

탐은 짐을 죽인 경찰을 죽이고 가족을 남겨둔 채 정처 없이 떠난다. “어디에 있겠니”라는 마의 물음에 탐은 “굶주리고 학대 받는 사람들이 있는 모든 곳에 있을 것”이라고 대답한다.

나는 탐의 이 말을 생각하면서 오바마를 머리에 떠올렸다. 당신은 과연 우리의 탐 조드인가.


- 필자 : 박흥진 (Koreatimes 편집위원)


........................................................................................................


 
*** 내가 처음 스타인벡의 설리너스를 찾아 갔던게 벌써 30년 전이다.
강보에 쌓인 딸을 안은 아내와 갓 킨더가든을 들어간 아들을 태우고
아주 심각한 얼굴로 이 실패한 신문기자, 별장지기였던 스타인벡의
문학의 고장을 찾아가야 하는거는 내게는 숙원이고 의식이었던 거다.
마치 칠십노구를 무릅쓰고 지난 겨울 찬비 내리는 파리를 헤매었듯.
그만큼 <분노의 포도>는 내 젊은 날을 사로잡았던 소설이다.
십년전 아내와 다시 찿아 갔을때는 감동은 한결 줄었지만 아름다운 몬터레이와
그림같은 꿈의 코스 페블비치, 17마일스 드라이브를 마음껏 즐겼다.

다시 웰빙은 커녕 Being 자체를 걱정해야할 시간에 섰다.
내가 아니고 내 자식들과 내 후손을 생각하며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를 다시 읽어야할 시간이다. 

내 후손들의 손에 오클라호마의 가뭄과 흉년에 찌든 흙먼지 풀풀 묻은
밥그릇, Dust Bowl이 쥐어지는 시간에 들어선것 같아 심히 걱정이다.
창조적 파괴를 서슴치 않는 자본주의가 또 한번 기존 질서를
인정사정 없이 무너뜨리고 역동적으로 쓰나미 처럼 우리를 덮친다.

70년만에 다시 찾아온 이 공황을 이해할려고 나는 요즘 다시 책을 들었다.
지금 3권 째 읽는데 솔직히 말해 나는 경악하고 있다.
앞으로 전개될 시간들은  새로운 문법, 전연 낯선 세상이란걸
피할길 없다. 문명의 축이 바뀌고 있다.

- 안양 촌노 씨야

 

    ♪** 홍하의 골짜기(Red River Valley) - Billy Vaughn Orchestra
    김호중
    선배님의 글 잘 읽었습니다. 분노의 포도, 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하는 쟌 스타인벡 소설가, 아주 젊은 시절의 주연 배우 헨리 폰다, 오클라호마의 흙먼지, 캘리포니아 악덕 농장주... 기억에 생생한 옛날 영화의 장면들이 생각나는군요. 그 영화를 보았을 때가 저는 아주 젊었던 시절인데, 이제 60대 중반의 노인이 되었습니다. 물론 선배님 앞에서 나이 찾으면 안되는 줄 잘 알면서도 세월의 변화를 달리 표현할 수 없군요. <부고필라> 독자들에게 이 글도 소개하겠습니다.

    09·04·17 02:47 수정 삭제

    김창현
    이렇게 또 귀중한 댓글을 주셔서 반갑습니다.
    역마살이 끼어 미주땅에 흘러가 이십수년 살다가 자식둘 미국땅에 남겨 두고 돌아와 있는 저에게는 이번 불황처럼 큰 사태는 일찍 경험해 보지 못했습니다. 아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는 또한번 절박한 지금의 현실로 닦아 섭니다.

    김동문도 느꼈겠지만 이번 서브프라임 사태는 자본주의 중심축이 미국서 다른 어느곳으로 떠나가는 통증입니다.
    12세기 벨기에 소도시 Burges에서 출발한 자본주의는 이미 네번째의 중심축인 미국에 와 있었는데 한세기의 짧은 시간을 뒤로하고 어디로 떠날려고 몸부림 칩니다. 아직 다음 가야할곳이 선듯 부각되지 않아 발걸음을 머뭇거리고 있는격입니다.
    자본주의가 첫번째 둥지를 틀었던곳은 아메리카대륙에서 유입되는 금은 거래시장이 형성되었던 제노바였고 1620년경부터 스페인의 경제약화로 이축이 흔들리기 시작, 당시 대서양 신항로를 독점하기 시작한 네덜란드로 자본주의 중심이 이동 합니다. 암스텔담은 150년간 자본주의 거점 역할을 맡았다가 1788년 자본주의 중심은 다시 런던으로 옮깁니다. 과도한 식민지 방어에 허덕이던 런던의 금융중심 The City가 Wall Street에 바톤을 넘긴거는 워싱턴에 연방준비은행이 설립된 1907년으로 봅니다. 미국의 자본주의 중심거점 시간은 위의 세군데에 비하면 짧은 편입니다. 미국 이전의 세군데 에서는 세계는 기축통화 하나를 쓰지 않아 국지적인 문제였 습니다만 이번 사태는 세계가 달러라는 기축통화를 모두쓰고 있기에 <가부시끼 망쪼>가 들어 아우성 입니다. 불황 혹은 공황의 차단벽이 없다는 뜻입니다.

    자본주의는 3가지 성립요건이 필요 합니다. 1)활발하게 성장하는 시장경제 2)사회나 국가가 독과점을 묵인하거나 부추겨야하고 3) 꼭 초과이윤을 창출할수있는 해외시장이 있어야 합니다. 자본주의의 기전과정을 페르낭 브로델의 이론을 빌어 들여다 보면 실물경제가 고도성장 할때는 돈이 기업에 머물다가 저상장으로 꼭 이행을 하는데 그때는 금융자본으로 변신을 한답니다. 기업대출에서 배가 안찬다는 뜻이지요. 금융자본으로 얼굴을 바꾼 돈은 가만 있질 못하고 주식 채권 부동산 외환 해외시장 원자재등을 휘저으며 꼭 투기를 만들며 거품을 일으킴니다.
    미국에서 1980년대 주식거품, 1990년대 후반 IT 거품, 2000년 들어서서 어마어마하게 인 부동산 거품. 일본은 1980년대 자산가격의 급등을 겪고 미술품 까지 미쳐 날뛰는 호황뒤에 잃어버린 10년 이란게 찿아들었던 겁니다. 한국은 1999년 벤처기업 거품 ,2001년 신용카드 대란, 2001-2007 미처날뛴 아파트 값, 2005-2007 펀드 광풍. 희안한것은 이거품 시절에 많은 사람들은 행복했습니다. 이걸 일러 우리는 상투라고 하는데 이게 높으면 높을 수록 자본주의 거점이 이행 해야한다는 신호 입니다. 상투뒤에 우리를 찿아드는 거품에는 없는사람들의 비명이 깔려있고 상당수의 자본도 몰락하고 극소수의 자본만 살아남아 내일의 영광을 향해 뛰기 시작 합니다.

    저는 <10년 뒤에 뭘먹고 살까?>라는 삼성 이건희의 독백에서 실물경제에서 금융경제로 옷을 못바꿔 입고 머뭇거린 그림자를 읽습니다. 이제 삼성도 이땅에서 금융자본으로 이행을 절실히 느끼고 금산법이란걸 애초롭게 처다보고 섰습니다만 너무 늦은것 아닙니까? 미국의 유대인들을 보세요. The city나 Wall Street, 싱가포르, 홍콩을 주름잡는 중국 客家들의 자본을 보세요. 그들이 언제 실물경제에 목맨적 있습니까. 나라가 어디든 그들은 개의치 않습니다. 미국이 엎어져도 Jew들은 또 어디를 찿아 큰판을 벌리고 섰을겁니다. 히틀러가 Jew 씨를 말릴려고 달겨든거는 이런점을 꾀뚫어보고 한짓 아닙니까?
    아무턴 자본주의 거점이 어디로 갈까에 대한 주장은 아직 다양합니다. 미국에 머문다에서 유럽, 중국.... 아직 그 어느곳도 거점을 받아드릴 성숙이 없습니다. 혼돈의 시간이 우리생전에는 지속 되겠지요.

    지난 겨울 저는 Villanova에 머물면서 <탐욕>이란 화두를 갖고 미국의 지성들이 주고 받는 논쟁을 유심히 지켜보았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에 뉴욕대학 교수가 Greed is good이란 컬럼을 쓰고..... 무함마드Mahomet는 <등을 똑바로 펴고 살수있는 정도 이상을 바라는게 탐욕>이라고 했습니다. 자본주의는 탐욕의 아들 입니다. 그러나 인류는 자본주의보다 더 근사한 경제체제를 찿아내지 못한데 인간의 본성의 하나인 탐욕을 안고 살아가야할 비극이 존재 합니다. 장 지글러는 현대란 <탐욕의 시대>라고 정의 하고 필리스 티클 같은 친구는 종교적 죄악으로서의 탐욕, 근대의 이성적 탐욕, 권력과 부를 끝없이 추구하는 오늘날의 탐욕에 대해 갈파 합니다만 김동문처럼 목회자는 이런 문제에 대한 우리들의 갈증을 풀어줄 의무가 있다고 저는 봅니다.

    두서없는 넉두리지만 자식들을 미주땅에 풀어 놓은 저나 거기 살고 계시는 김동문등에게는 무한의 사유와 갈등과 깨어있음을 강요 받는 시간입니다. 우리 한번 부고 홈페이지를 빌어서나마 크게 고민해 봅시다

    안양 씨야老

    09·04·17 15:56 수정 삭제

    김창현
    튤립광기(Tulipomania)

    해마다 4월 말이 되면 네덜란드의 할렘시 주변 지역은 지평선 끝까지 튤립으로 덮여 장관을 연출한다. 이 아름다운 튤립이 한때 광란에 가까운 투기의 대상이었던 적이 있다.

    17세기 네덜란드에서는 강렬하고 다양한 색상을 가진 튤립이 큰 인기를 끌면서 가격이 급등했다. 이를 이용해서 돈을 벌 수 있다는 데 생각이 미치자 수많은 사람들이 전 재산을 털어 텃밭을 사고 튤립 구근(球根)을 키웠다.

    이는 곧 역사상 유례를 찾기 어려운 투기 현상으로 이어졌다. 값이 오르리라고 예상되는 구근을 10%의 선금을 지급하고 미리 확보해 놓는다. 수확기가 되면 잔액을 지급한 다음, 값이 훨씬 올라 있는 이 구근을 다른 사람에게 되팔아서 이익을 남긴다.

    전체적으로 꽃값이 오르는 기간에는 이런 방식으로 큰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전설적인 구근 종자인 '셈페르 아우구스투스'는 1633년까지 값이 500길더였던 것이 1637년에는 1만길더에 거래됐다. 꽃 한 송이가 대저택 한 채 값을 상회할 정도였다.

    그러나 모든 일에는 끝이 있는 법이다. 머지않아 꽃값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뒤늦게 막차를 탔던 사람들이 재산을 날리는 현상이 벌어졌다. 누구나 자신이 보유한 구근을 처분하려고 했지만 정작 사려는 사람은 한 명도 없었으므로 자연히 구근 가격은 급전직하로 떨어졌다. 5000길더를 호가하던 상품이 50길더까지 내려가도 구매자는 나오지 않았다.

    '튤립 광기'는 자본주의적 투기가 어느 정도까지 극단으로 치달을 수 있는지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그런데 흔히 이 점만 언급하고 말지만, 이런 엄청난 사건이 나중에 어떤 방식으로 수습되는지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가격이 폭락하자 구매 계약자가 잔액 지급을 거부하는 일이 도처에서 벌어졌다. 계약을 취소하려면 10%의 위약금을 지급해야 했으나 대부분 한 푼도 갚지 않으려고 했다. 결국 할렘시가 3.5%의 위약금을 물면 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는 지침을 정함으로써 이것이 대체적인 기준이 되었다. 많은 중산층 시민이 몰락하도록 내버려 둘 수도 없고 그렇다고 재배농에게 모든 피해를 전가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양측이 적당한 수준에서 피해를 나누기로 합의를 본 것이다.

    튤립 광기가 역사적인 투기 사건치고는 의외로 피해가 그리 크지 않았던 이유는 사회 전체가 효율적으로 충격을 흡수했기 때문이다.
    주경철-서울대 교수-조선일보 Apr 18 2009

    (1637년 네덜란드를 휩쓸었던 이 튤립투기 사건은 자본주의의 광기를 설명하는 유명한 사례입니다. 네덜란드 사람들은 이사건을 해결하기위해 7개 州가 똘똘 뭉쳐 금융시장이 견고하게 구조화하는 계기로 만들어 150년간 자본주의 거점 노릇을 합니다.)
    조회 수 :
    126297
    등록일 :
    2009.04.18
    15:50:09 (*.48.192.198)
    엮인글 :
    http://kim25.net/kim/31464/4ee/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kim25.net/kim/3146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2 김명준 [35世-서울] 의성 고운사, 안동 학봉종택, 봉정사, 병산서원 탐방기 [2] image 김소헌 2011-05-26 1198953
    61 김태원 [36世-大邱] 호계서원 이야기 ... (1) [1] 김태원 2009-05-27 750908
    60 김창현 [35世-安養] 십만양병설의 허구 김창현 2008-08-03 639496
    59 김제덕 [36世-大邱] 고 취산 김홍식 회장 장례식 영결사 김종협 2010-02-11 634036
    58 김창현 [35世-安養] 輓 Robert Mondavi 김창현 2008-09-08 621424
    57 김창현 [35世-安養] <잃어버린 세대>와 <재즈시대> imagemovie 김창현 2009-04-22 553204
    56 김창현 [35世-安養] 전립선암 투병기 [1] 김창현 2008-10-24 507754
    55 김재수 [36世-大邱] 통신언어를 둘러싼 논쟁. 언어파괴냐? 문화다양성이냐? id: 운영자 (金在洙)운영자 (金在洙) 2008-09-24 411128
    54 김제덕 [36世-大邱] 학봉선생 제14대 종손 고 소운 김시인공 2주기 대상 제문 김종협 2010-02-11 393838
    53 김창현 [35世-安養] Google 김창현 2008-10-19 320546
    52 김시무 [34世-安東] 인사를 잘 합시다/청바지에 통기타 베스트1 movie id: 김시무김시무 2008-07-20 317543
    51 김창현 [35世-安養] 70생일모임 인삿말 [4] 김창현 2009-07-16 290513
    50 김시무 [34世-安東] 특별한 세 가지 재능 / 커피 한 잔과 함께 하는 추억의 팝송 imagemovie id: 김시무김시무 2009-06-05 259557
    49 김창현 [35世-安養] 車와 manzanita와 그리고......... 김창현 2008-10-19 256943
    48 김창현 [35世-安養] 루이14세와 발레 imagemovie 김창현 2009-10-18 246376
    47 김창현 [35世-安養] 鍾繇와 唐 太宗----글씨 이야기 김창현 2009-07-22 244847
    46 김제덕 [36世-大邱] 팔공산 안내비석 김종협 2010-02-11 236160
    45 김창현 [35世-安養] 저는 지금 빙그레 웃고 있습니다 [3] 김창현 2009-07-16 235128
    44 김창현 [35世-安養] 내몽고 기행 2 김창현 2009-08-26 231216
    43 김제덕 [36世-大邱] 의성김씨 문충공 학봉 김성일 종가 안내 id: 김제덕김제덕 2009-06-15 215143
    42 김창현 [35世-安養] Gentleman C image 김창현 2008-09-01 212174
    41 김창현 [35世-安養] 望八의 횡설수설 [1] 김창현 2009-07-16 202455
    40 김창현 [35世-安養] 兒名 氏也攷 김창현 2009-07-22 202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