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전기에 조신(朝臣) 및 학계의 반목, 세력 다툼으로 선비들이 화(禍)를 입은 사건.

즉 사림파들이 훈구파에 의하여 화를 입은 사건이며, 
원래 '사림(士林)의 화(禍)' 라는 말로서,  사림파의 입장에서 쓴 말이다.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戊午士禍)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甲子士禍)
1519년(중종 14년)  기묘사화(己卯士禍)
1545년(명종 원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세조 이후 성종에 이르는 사이에 형성된
훈구파(勳舊派)를 위시한  절의파(節義派)사림파(士林派)청담파(淸談派)의 상호반목,     특히 훈구파와 사림파 간의 세력 다툼에서 비롯한 참화이다.


<< 사화(士禍)의 경과 >>

 

조선시대에서는   불교를 배격하고 유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학계는 초기부터 분파가 있어서  조선조를 지지하는 파와  멸망한 고려조를 추모하여 조선에 사관(仕官)치 않던 파가 있었지만,   역대왕은  문치(文治)에 주력하여 많은 유학자(儒學者)를 배출하였다.

그러나  세조 이후 성종에 이르는 사이에는  훈구파를 위시한 절의파사림파청담파 등으로 파벌을 형성하여 서로 반목ㆍ질시(嫉視)하기에 이르렀고,  
이들 중 가장 반목이 심하던 파는 훈구파와 신진사류(新進士類)인 사림파였다.


성종 때의 소위 훈구파는  세조가 즉위할 때  공신으로 추대되어 높이 등용된 자들로서,
정인지(鄭麟趾)ㆍ양성지(梁誠之)ㆍ최항(崔恒)ㆍ신숙주(申叔州) 등이다.  

이들은 모두 고관대작에 임용되었으며,  수차례 걸친 사전(賜田)을 받아  막대한 농장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또 학문적으로 정치에 관한 것을 주로 하되,   전례(典禮)와 문장(文章)에도 능하였다.

그러므로  국가의 편찬 사업에 종사하여  문운(文運)의 발달에 이바지한 공이 컸다.  
이러한 훈구파는 그들의 거주지가 대개 경기지방을 중심으로 충청도에 미쳐 있었기 때문에 기호파(畿湖派)라고도 하였다.


그러나  이 훈구파를 간사한 무리로 모는 파가 있었으니,
세조의 찬탈을 옳지 못한 행위로 단정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명분에 따라 두문(杜門) 혹은 방랑으로 일생을 보내는 사람들도 있었다.

김시습(金時習) 등  소위 생육신(生六臣)이 그 대표적 존재였다.
김시습 같은 천재가  한낱 광인(狂人)으로 세상을 마쳤다는 것은  그 시대의 암흑의 이면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와 유를 같이하는 사람들 속에는 세상을 비웃고 청담(淸談)을 즐기는 파가 있었으며,
이들 중에는 죽림칠현(竹林七賢)을 모방하는 자까지 있었다.

이 부류에는  출세의 길을 제한 당한 왕족이나 계급적인 제약을 받는 서리(胥吏) 등이 주로 모여 있어서, 훈구파와 대립은 하고 있었지만,  사회적으로 정치적 분규를 야기시킬 염려가 지극히 희박하였다.


이에 대하여 김종직(金宗直)을 중심으로 한 사림파는 현실적으로 보다 큰 의미를 갖는 존재였다.
김종직은 고려 말의 유학자 길재(吉再)의 손제자(孫弟子)였다.
그는 문장과 경학(經學)에 능하여  고향인 밀양(密陽)을 중심으로 한  영남지방의 귀족 자제들을 모아 교육에 전념하였다.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ㆍ김일손(金馹孫) 은 모두 그의 우수한 제자였다.

이들 사림파는 은연 중  세력을 가지고 훈구파와 대립하고 있었다.
그들이 벼슬에 나서지 못한 동안은  아직 아무런 일이 없었으나,   성종 때에 이르러  그들 사림을 중앙에 등용하기 시작하면서  문제는 심각하게 되었다.  

사림파는 불공평한 모든 제도의 개혁을 요구하면서 훈구파에 대하여  일대 위협을 느끼게 하였다.
이제  정면충돌을  면할 길이 없었다.     이러한 대립도 명군(名君) 성종이 있는 동안은 음성적으로 밖에 작용하지 못했으나,   폭군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드디어 폭발했다.


<< 사화(士禍)의 결론 >>

 

4대 사화는  조선시대 당쟁이 벌어지던  1575년(선조 8년) 이전에 일어난 옥사였다.

소수인의 음모에 의한 것이 아니고,  파당을 가진 다수인의  공공연한 논쟁(論爭)이 따르는 대립과 투쟁에서 패자(敗者)는  반역자로 몰려 지위를 빼앗기거나 목숨을 잃었고,  한 파가 승리하면  이에 대해서 새로운 반대파가 또 생겨 그것이 사화를 빚어내곤 하였다.


이러는 동안  정치기강(政治紀綱)은  더욱 문란해지고,  뜻있는 선비들은 관직을 버리거나 아예 관직을 단념하고  서원(書院)을 세워 유생들의 집합 장소로 삼는 동시에,  그들 일족의 자녀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통하여 동족적(同族的)인 당파의 결합을 굳게 하였다.

이와같이 사화에 의하여 육성된 정치비판(政治批判)과 반대파에 대한 복수관념은  서원의 발전과 더불어  조선시대 후기의 당쟁(黨爭)을 격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profile
작가는 특별한 사람이 아닙니다..
지금 이시간에 자판을 두드리고 계시는 아재,할배께서 바로 "작가"이십니다..
글들을 읽고나서 짤막한 댓글 하나씩 남겨주시면, 글쓰시는 다른 아재,할배께서도 기쁨을 느끼십니다.!

김이오.넷 (kim25.net) 홈페이지 운영자 : 시조에서 36代 , 학봉 16代   金在洙  010-9860-5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