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관 등용 시험인 문과는 크게 대과(大科)와 소과(小科)로 나뉘어지며, 이들 시험은 식년시(式年試)라고 하여 3년에 1차씩 정기적으로 시행되었다. 초급 문관 시험인 소과에는 생원과(生員科)와 진사과(進士科)가 있었고 이를 생진과(生進科)라고 통칭하기도 하였다. 이 시험에는 초시(初試)와 복시(覆試)가 있었고 여기에 합격한 자를 생원, 진사라 불렀다. 중급 문관 시험인 대과에는 진사와 생원, 하급 관리, 성균관 유생들이 응시하였으며, 초시와 복시를 실시하여 급제자를 선발한 후에 전시(殿試)에서 그 등급을 결정하였다. 즉, 문과의 경우에는 아래의 그림에서와 같이 그 단계가 생진초시-생진복시-문과초시-문과복시-문과전시로 나누어졌다.


소과인 생진과(生進科)는 생원과와 진사과로 구분되어 있었으며, 첫날에 초장인 진사시를 실시하고 다음날에 생원시를 실시하였다.
생원과(生員科) - 고려 때부터 명경과라는 이름으로 있었던 과거 제도. 중국의 경적을 가지고 보았으며, 합격한 자를 생원이라 한다. 여기에 합격한 자는 선비로서의 사회적 지위를 공인받았으며,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 및 하급 관리에 취임하는 자격이 주어졌다.

진사과(進士科) - 고려의 제술과, 국자감시. 생원과와 같이 소과초시(小科初試)의 한 분과로 서울과 지방에서 실시하였으며, 합격한 자를 진사라고 한다. 역시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과 복시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으며, 초급 문관에 임명될 수 있었다.


대과인 문과(文科)는 초시와 복시, 전시의 3단계로 구분되어 있었으며, 초시는 복시와 전시를 치루는 전해의 가을에 각 지역에서 실시되었다.

초시는 1차시험, 복시는 2차시험, 전시는 임금 앞에서 보는 3차 최종시험이라 할 수 있다.

응시자격은 원칙적으로 생원 또는 진사일 것과 성균관에서 원점 300점을 획득했어야만 했다.

최종선발시 장원 1명, 갑과 2명, 을과 3명, 병과 23명으로 총 33명으로 선발하였으며 당하관이 된다. 당상관으로 진급하려면 원칙적으로는 중시를 쳐야 한다.

모든 관직은 당상관(堂上官), 당하관(堂下官), 참상관(參上官), 참하관(參下官)의 4등급으로 나뉘는데,
당상관은 정3품 상위 품계, 당하관은 정3품 하위 품계, 정5품∼종6품을 참상관, 정7품 이하를 참하관이라 하였으며, 참하에서 참상으로 오르는 것을 승륙(陞六)이라 하여 승진의 큰 관문이 되었다.

별칭으로는 국왕은 상감(上監), 정2품 이상은 대감(大監), 종2품과 정3품 당상관은 영감(令監)이라는 존칭이 사용되었다.
profile
작가는 특별한 사람이 아닙니다..
지금 이시간에 자판을 두드리고 계시는 아재,할배께서 바로 "작가"이십니다..
글들을 읽고나서 짤막한 댓글 하나씩 남겨주시면, 글쓰시는 다른 아재,할배께서도 기쁨을 느끼십니다.!

김이오.넷 (kim25.net) 홈페이지 운영자 : 시조에서 36代 , 학봉 16代   金在洙  010-9860-5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