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 미국 예술에 영감을 불어넣다



노엘라 / 바이올리니스트 겸 음악 칼럼니스트

20세기 초, 미국의 예술은 유럽의 예술을 재생하는 수준에 있었다. 이렇다 할 미국고유의 예술작품은 존재하지 않았다.

여러 다른 인종이 모여 하나의 국가를 이루고 있는 다양한 미국의 모습을 표현할 수 있는 미국 고유의 예술은 미술계에서는 스튜아트 데이비스(Stuart Davis, 1892~1964)에 의해, 그리고 음악계에서는 조지 거슈인(George Gershwin, 1898~1937)에 의해 그 출발점을 찾는다. 그리고 이들의 예술 세계에 영향을 준 것은 당시 미국전역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재즈였다.

재즈에서 탄생한 미국식 예술

거슈인은 맨해튼 빈민가에서 태어나 자연스럽게 흑인들의 생활과 음악을 접했다. 그는 재즈 등 흑인 음악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클래식 역사상 최초로 흑인을 주인공으로 한 오페라 ‘포기와 베스’를 만들었다.

이 작품은 당시 큰 이변을 일으켰고 ‘Summertime’, ‘It Ain’t Necessarily So’ 등 많은 히트 곡을 탄생시켰다. 그는 음악에서 유럽의 클래식과 미국의 재즈를 절묘하게 접목시켰다.

거슈인은 “재즈는 미국에 축적되어있는 에너지의 결과이다. 재즈는 거칠고 서민적인 힘을 지닌 음악이다”라고 말할 만큼 재즈가 당시 미국인의 정서를 대변하고 있다고 믿었다.

거쉬인과 마찬가지로 데이비스 역시 재즈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데이비스는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 16세에 뉴욕으로 옮겨 로버트 헨리를 사사했다. 그는 뉴욕에 거주하는 동안 맨해튼의 밤 문화를 접하면서 당시 새로운 음악인 블루스, 스윙 등을 들으며 그림의 주제를 찾았다.

데이비스는 1930년대 스윙이 미국을 강타하며 재즈가 부상했을 당시 대중매체를 통한 재즈의 파급력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는데 1938년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스윙 랜드스케이프’는 재즈에 대한 그의 생각을 반영했다. 이 그림은 재즈의 테마와 즉흥 연주처럼 리드미컬함과 다채로움을 표현하고 있다.

동시에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글로체스터의 바다가 보이는 풍경을 추상적인 표현으로 구현해 재즈가 미국 전역에 퍼져있음을 나타냈다. 재즈는 더 이상 흑인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전 미국인의 음악임을 표현하고 있다.

1-스튜어트 데이비스
2-Swing Landscape
3-거슈인
4-랩소디 인 블루

대중성과 예술성의 결합

거슈인과 데이비스는 재즈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점 외에도 대중적인 작품으로 그들의 예술 세계를 시작했다는 점에서도 닮아 있다. 거슈인은 클래식 음악을 작곡하기 전 대중음악을 작곡했다. 그는 뉴욕의 음악 출판사들의 중심지였던 틴판엘리에서 피아니스트와 작곡가로 활동하며 21세에 ‘스와니’를 작곡하면서 대중음악에서 대성공을 거둔다.

그는 스와니로 인해 엄청난 수익을 올리지만 클래식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않았고 1924년 ‘랩소디 인 블루’를 작곡하며 명실공히 미국을 대표하는 예술가로 등극했다. 스트라빈스키를 비롯해 토스카니니, 라흐마니노프 등은 이 작품에 대해 찬사를 아끼지 않았고 그는 하루아침에 대중음악과 클래식 음악계 양쪽에서 명성을 얻게 된다.

그는 이후 클래식을 좀 더 심도 있게 공부하기 위해 라벨, 스트라빈스키에게 레슨을 의뢰했지만 모두 거슈인의 독창적인 음악을 인정, 거절했다는 에피소드가 있다. 거슈인은 일상생활에서 듣고 느끼던 재즈와 팝, 그리고 그가 동경했던 클래식 장르를 적절히 배합시키면서 그만의 독특하면서도 다양성을 지닌 ‘미국적인 음악’을 만들어내는데 성공을 거둔다.

데이비스는 거슈인과는 다르게 정식 미술교육을 받고 자라지만 틀에 박힌 교육에 실증을 느끼게 되고 10대 후반에는 순수미술이 아닌 캐리커처와 만화를 그리는 일을 시작으로 미술계에 진입한다. 데이비스가 21살이 되던 해 그는 가장 어린 나이로 뉴욕 아모리 쇼에 출품을 하게 되고 이때 접한 유럽의 입체파에서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하지만 데이비스는 유럽의 입체파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독창적인 감각을 살려 미국적 특성을 지닌 ‘미국식 입체파’를 만들어냈다. 그는 미국인의 모습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미국의 상징적인 도시 뉴욕, 자동차, 상업적 로고 등 일상생활에 녹아있는 주제를 그림 안에 그리며 미국식 예술을 창조했다.

그의 컬러풀한 색채의 사용, 일상에서 찾는 주제, 포스터 느낌을 살린 특유의 기법, 글자의 사용 등은 이후 팝 아트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 1928-29년 파리에 있는 동안 그는 미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파리의 풍경을 그린다. 간판에 새긴 글씨, 건물크기의 소다 병, 칼라풀한 색채, 포스터 느낌의 그림 등은 그만의 독창적인 그림 기법을 나타낸다.

이 시기는 우연히도 거슈인이 ‘파리의 미국인’을 작곡한 시기와도 정확하게 맞아 떨어진다. 1928년에 작곡한 ‘파리의 미국인’은 미국 여행객이 파리에서 느끼는 파리의 인상을 음악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이후 그는 이 곡을 기반으로 동명의 뮤지컬 영화가 만들어졌고 대히트를 기록한다.

거슈인의 ‘파리의 미국인’과 데이비스의 1928~1929년도 파리의 풍경을 그린 작품들은 파리라는 유럽 예술의 중심지를 미국인의 시각으로 재구성하고 표현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미국의 예술가

거슈윈과 데이비스, 이 둘은 일상에 녹아있는 주제들을 예술로 승화시켜 미국 고유의 예술을 만들어냈다. 그들은 그들의 작품을 통해 미국인의 삶과 애환을 표현하며 미국인의 마음을 읽어주었다.

미국 특유의 다양한 문화의 공존을 거슈인은 팝과 재즈와 클래식이라는 장르를 접목시킴으로써, 데이비스는 유럽의 입체파를 미국의 정서에 맞게 변형시켜 일상에서의 주제와 재즈를 접목시켜 예술로 승화했다. 그들의 말과 작품 속에서 우리는 두 예술가의 조국, 미국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다.

“I paint what I see in America, in other words I paint the American Scene (나는 내 눈으로 바라본 미국을 그린다. 다시 말해 미국의 풍경을 그리는 것이다).”- 스튜아트 데이비스

“True music must repeat the thoughts and inspirations of the people and the time. My people are Americans and my time is now (진정한 음악은 이 시대의 사람들의 생각과 영감을 [음악을 통해] 다시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나의 사람들은 미국인이고 나의 시간은 지금이다).”- 조지 거슈인



George Gershwin's Rhapsody In Blue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skin/ggambo7002_board/font.js"></SCRIPT>
무성
재즈에 관한 글을 가끔올려주는 김창현동문이 우리 사이트에서 재즈앰버사더역활을 해주는것 같아 마음이 흐믓합니다.

09·04·21 22:43 수정 삭제

김창현
제게 재즈앰버사더란 꼬리표는 참 어울리지 않습니다.
재즈, 아니 음악에 대해 저는 너무너무 문외한 입니다.

제 아들과 막내여동생이 재즈에 일가견을 갖고 있지만 저는 사돈의 팔촌 이었습니다.
아들은 대학 다닐때 전공이 Biochemistry였지만 부전공이 음악 이었기에 재즈에 무척 빠져 들었고
지금 환갑을 바라보는 막내여동생은 피아노를 하는데 재즈연주가 자칭 한국 일인자 였습니다.

미국을 알려면 재즈에 대해 뭘좀 알아야 하는데 저는 그렇지 못해 무성이나 허영옥씨,
이태식씨등을 부러운 눈으로 보고 있습니다.

저는 지난 겨울 파리를 방문했습니다.
1차대전 이후 파리로 건너와 센느강 좌안에 자리잡은 미국예술인들의 족적을 더듬었습니다.
Fleurus 27번지에 둥지를 틀고 피카소, 헤밍웨이, 에즈라파운드, 피츠제랄드... 듣등에게 엄청난
영향을 끼친 여왕벌 거투르드 스타인Stein을 생각하며 피츠제랄드의<재즈시대 이야기
Tales of the Jazz age>란 어떤거 였으며<잃어버린 세대Une Generation Perdu>가
무엇을 의미 하는지 천착을 했습니다.

스캇 피츠제랄드는 길을 잃은 젊음의 시대를 <재즈시대>로 묘사하고 있었습니다.
이때의 젊음이란 운명이 형성되는 단계이자 꿈이 현실화되는 시점, 환상과 환멸이
교차하는 시기를 말합니다. 재즈의 시대란 계약결혼과 열광적인 재즈댄스와 密酒의 시대였으며
자유분방한 말광양이 아가씨와 모피코트가 심볼이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재즈시대는 미몽에서 깨어나 회의하는 시대고 실패한, 상처입기 쉬운 낭만주의가
질서와 진보라는 오래된 신에 대한 믿음이 사라진 자리를 대신 하는 시대 였습니다.

<잃어버린 세대>란 스타인의 차수리를 맡겼던 정비공장의 주인 입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정비공이 하도 꾸물대며 며칠째 스타인의 차수리를 안해 주자 공장주인이 정비공에 뱉은말.

저는 스타인이 퍼뜨린 <잃어버린 세대>와 피츠제랄드가 말하는 <재즈시대>가 뭐가 다른지
궁금증을 갖고 파리에서 돌아 왔습니다.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이란 영화때문에 요즘 다시
Fitzgerald의 <재즈시대>가 떠오르는 시간 입니다. 별로 부자집 도련님이 아니면서 프린스톤에 입학하여
묘한 열등감과 씨름해야 했던 피츠제랄드와 미국 양반문화가 아니였던 Jazz가 지녔던 열등감 사이에는
어떤강이 흐르고 있는지 이제 부터 더듬어 보아야할 시간 입니다.
조회 수 :
553206
등록일 :
2009.04.22
13:24:11 (*.48.192.198)
엮인글 :
http://kim25.net/kim/31613/931/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kim25.net/kim/316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 김창현 [35世-安養] 이청준 1주기 [2] image 김창현 2009-05-22 176191
38 김명균 [35世-安東] 안내 - 국역 상변통고(常變通攷) 출판 기념식 안내 id: 김명균김명균 2009-05-20 112937
37 김창현 [35世-安養] 우리가 배워야 하는것 김창현 2009-05-07 77736
36 김창현 [35世-安養] 이보게 그 손가락부터 자르게 김창현 2009-05-06 104130
35 김창현 [35世-安養] 치즈와 북어국 김창현 2009-05-06 154467
34 김창현 [35世-安養] 내가 쓴 사과문 [1] 김창현 2009-05-05 124377
33 김창현 [35世-安養] 도올 김창현 2009-04-25 131341
32 김창현 [35世-安養] 달팽이 뿔위에서 김창현 2009-04-25 122638
» 김창현 [35世-安養] <잃어버린 세대>와 <재즈시대> imagemovie 김창현 2009-04-22 553206
30 김창현 [35世-安養] Dust bowl image 김창현 2009-04-18 126301
29 김창현 [35世-安養] 靑溪할배 후손들을 위한 苦言 [3] 김창현 2009-04-08 139505
28 김창현 [35世-安養] 번역에 대하여--Essay 김창현 2009-02-08 178003
27 김창현 [35世-安養] 메디슨 image 김창현 2009-02-07 160340
26 김창현 [35世-安養] 청요리 이야기 김창현 2008-11-21 120302
25 김창현 [35世-安養] 김수환 추기경과 사형수 김창현 2008-11-18 150345
24 김창현 [35世-安養] Nighthawks image 김창현 2008-10-30 120911
23 김창현 [35世-安養] 전립선암 투병기 [1] 김창현 2008-10-24 507757
22 김창현 [35世-安養] Google 김창현 2008-10-19 320554
21 김창현 [35世-安養] 車와 manzanita와 그리고......... 김창현 2008-10-19 256946
20 김창현 [35世-安養] 씨야 연경별기 기이 김창현 2008-10-14 146045
19 김창현 [35世-安養] 氏也 燕京別記 [1] 김창현 2008-10-08 100623
18 김재수 [36世-大邱] 통신언어를 둘러싼 논쟁. 언어파괴냐? 문화다양성이냐? id: 운영자 (金在洙)운영자 (金在洙) 2008-09-24 411132
17 김재수 [36世-大邱] 자라나는 세대에게 한자 (漢字)교육 강화해야 image id: 운영자 (金在洙)운영자 (金在洙) 2008-09-16 156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