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반 게시판 ] 유용한 상식 게시판입니다.
1.
오행(五行) 및 육갑(六甲) |
■ 십이지에 해당하는 동물의 이름
 |
 |
 |
 |
 |
 |
자(子) : 쥐 |
축(丑) : 소 |
인(寅) : 범 |
묘(卯) : 토끼 |
진(辰) : 용 |
사(巳) : 뱀 |
 |
 |
 |
 |
 |
 |
오(午) : 말 |
미(未) : 양 |
신(申) : 원숭이 |
유(酉) : 닭 |
술(戌) : 개 |
해(亥) : 돼지 |
■ 음양오행도
오행(五行)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상생(相生)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상극(相剋)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화(火) |
오방(五方) |
동(東) |
남(南) |
중앙(中央) |
서(西) |
북(北) |
오시(五時) |
춘(春) |
하(夏) |
계하(季夏)
토용(土用) |
추(秋) |
동(東) |
오기(五氣) |
인애(仁愛) |
강맹(剛猛) |
관굉(寬宏) |
살벌(殺伐) |
유화(柔和) |
오상(五常) |
인(仁) |
예(禮) |
신(信) |
의(義) |
지(智) |
색(色) |
청(靑) |
적(赤) |
황(黃) |
백(白) |
흑(黑) |
오장(五臟) |
간(肝) |
심(心) |
비(脾) |
폐(肺) |
신(腎) |
수(數) |
1,2 |
3,4 |
5,6 |
7,8 |
9,10 |
음(音) |
각(角) |
징(徵)치 |
궁(宮) |
상(商) |
우(羽) |
ㄱ ㅋ
아음(牙音) |
ㄴ ㄷ ㄹ ㅌ
설음(舌音) |
ㅇ ㅎ
후음(喉音) |
ㅅ ㅈ ㅊ
치음(齒音) |
ㅁ ㅂ ㅅ
진음 (震音) |
천간(天干) |
양음(陽陰)
갑을(甲乙) |
양음(陽陰)
병정(丙丁) |
양음(陽陰)
무기(戊己) |
양음(陽陰)
경신(庚辛) |
양음(陽陰)
임계(壬癸) |
지지(地支) |
인(寅)묘(卯) |
오(午)사(巳) |
술(戌)미(未) |
신(申)유(酉) |
자(子)해(亥) |
■ 간지(干支) 및 육갑(六甲)
간지는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로 구별이 되는데
간(干)은 양(陽)에 속하고 지(支)는 음(陰)에
속하므로 간(干)은 하늘(天),
지(支)는 땅(地)으로 통한다.
그러므로 축문(祝文)에도 년ㆍ월ㆍ일은 간지(干支)로
쓰게 되어 있다.
▶ 십간(十干)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申) |
임(壬) |
계(癸) |
▶ 십이지(十二支)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
▶ 육십간지(六十干支)는 위의 '십간'과 '십이지'를
차례대로 조합한 것
갑자(甲子) |
갑술(甲戌) |
갑신(甲申) |
갑오(甲午) |
갑진(甲辰) |
갑인(甲寅) |
을축(乙丑) |
을해(乙亥) |
을유(乙酉) |
을미(乙未) |
을사(乙巳) |
을묘(乙卯) |
병인(丙寅) |
병자(丙子) |
병술(丙戌) |
병신(丙申) |
병오(丙午) |
병진(丙辰) |
정묘(丁卯) |
정축(丁丑) |
정해(丁亥) |
정유(丁酉) |
정미(丁未) |
정사(丁巳) |
무진(戊辰) |
무인(戊寅) |
무자(戊子) |
무술(戊戌) |
무묘(戊申) |
무오(戊午) |
기사(己巳) |
기묘(己卯) |
기축(己丑) |
기해(己亥) |
기진(己酉) |
기미(己未) |
경오(庚午) |
경진(庚辰) |
경인(庚寅) |
경자(庚子) |
경사(庚戌) |
경신(庚申) |
신미(申未) |
신사(申巳) |
신묘(申卯) |
신축(申丑) |
신오(申亥) |
신유(申酉) |
임신(壬申) |
임오(壬午) |
임진(壬辰) |
임인(壬寅) |
임미(壬子) |
임술(壬戌) |
계유(癸酉) |
계미(癸未) |
계사(癸巳) |
계묘(癸卯) |
계신(癸丑) |
계해(癸亥) |
■ 십이지(十二支)로 시간을 따지는 법
1지(支)는 지금 시간으로 2시간이며 초(初)와 정(正)은
1시간이다.
또 지(支)마다 각(刻)이 있는데 1각(刻)은 15분이며 각 밑에 지금과 동일한 의미의 분(分)이 있다.
하루를 2시간씩 12지(支)로 나누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ㆍ자시(子時) : 오후 11시에서 오전 01시까지
ㆍ축시(丑時) : 오전 01시에서 오전 03시까지
ㆍ인시(寅時) : 오전 03시에서 오전 05시까지 ㆍ묘시(卯時) : 오전 05시에서
오전 07시까지
ㆍ진시(辰時) : 오전 07시에서 오전 09시까지 ㆍ사시(巳時) : 오전 09시에서
오전 11시까지
ㆍ오시(五時) : 오전 11시에서 오후 01시까지 ㆍ미시(未時) : 오후 01시에서
오후 03시까지
ㆍ신시(申時) : 오후 03시에서 오후 05시까지 ㆍ유시(酉時) : 오후 05시에서
오후 07시까지
ㆍ술시(戌時) : 오후 07시에서 오후 09시까지 ㆍ해시(亥時) : 오후 09시에서
오후 11시까지
■ 오행상생(五行相生)
ㆍ금과 물 - 금생수 (金生水) ㆍ물과 나무 - 수생목 (水生木) ㆍ나무와
불 - 목생화 (木生火)
ㆍ불과 흙 - 화생토 (火生土) ㆍ흙과 금 - 토생금 (土生金)
■ 오행상극(五行相剋)
ㆍ금과 나무 - 김극목 (金克木) ㆍ나무와 흙 - 목극토 (木克土) ㆍ흙과 물 - 토극수 (土克水)
ㆍ물과 불 - 수극화 (水克火) ㆍ불과 금 - 화극금 (火克金)
■ 삼재인명(三災人命)
ㆍ사유축생 해자축년(巳酉丑生 亥子丑年) ㆍ해묘미생 사오미년(亥卯未生 巳午未年)
ㆍ신자진생 인묘진년(申子辰生 寅卯辰年) ㆍ인오술생 신유술년(寅午戌生 申酉戌年)
■ 지지상충(地支相沖)
ㆍ자(子),오(午) ㆍ축(丑),미(未) ㆍ인(寅),신(申) ㆍ묘(卯),유(酉)
ㆍ진(辰),술(戌) ㆍ사(巳),해(亥)
■ 천간삼합(天干三合)
ㆍ건(乾), 갑(甲), 정(丁) ㆍ곤(坤), 임(壬),
을(乙)
ㆍ간(艮), 병(丙), 신(申) ㆍ손(巽), 경(庚),
계(癸)
■ 지지삼합(地支三合)
ㆍ인(인), 오(오), 술(술) ㆍ신(신), 자(자), 진(진)
ㆍ사(사), 유(유), 축(축) ㆍ해(해), 묘(묘), 미(미)
■ 연두법(年頭法)
ㆍ갑기지연병인두(甲己之年丙寅頭) ㆍ을경지연무인두 (乙庚之年戊寅頭)
ㆍ병신지연경인두 (丙申之年庚寅頭) ㆍ정임지연임인두 (丁壬之年壬寅頭)
ㆍ무계지연갑인두 (戊癸之年甲寅頭)
■ 시두법(時頭法)
ㆍ갑기야반생갑자 (甲己夜半生甲子) ㆍ을경야반생병자 (乙庚夜半生丙子)
ㆍ병신야반생무자 (丙申夜半生戊子) ㆍ정임야반생경자 (丁壬夜半生庚子)
ㆍ무계야반생임자 (戊癸夜半生壬子) |
2.
수휘(數彙) |
■ 2(二)
ㆍ이기(二氣) : 음(陰)과 양(陽)
ㆍ이락(二樂) : 하늘(天)과 사람(人)에 부끄러움이 없는 군자(君子)의 기쁨
ㆍ이예(二禮) : 주례(周禮)와 의례(儀禮)
ㆍ이의(二義) : 하늘(天)과 땅(地), 어둠(陰)과 밝음(陽)
ㆍ이장(二藏) : 불교의 대승(大乘)과 소승(小乘)
ㆍ이전(二典) : 경서(經書)의 요전(堯典)과 순전(舜典)
ㆍ이천(二天) : 큰 은인(하늘 다음가는)
■ 3(三)
ㆍ삼경(三經) : 역경(易經) 시경(詩經) 서경(書痙) 즉, 주역(周易) 시전(詩傳) 서전(書傳)
ㆍ삼강(三綱) : 군신(君臣) 부자(父子) 부부(夫婦)의 도(道)
ㆍ삼광(三光) : 해(日) 달(月) 별(星辰)의 빛
ㆍ삼계(三界) : 과거 현재 미래
ㆍ삼극(三極) : 하늘(天) 땅(地) 사람(人)
ㆍ삼건(三愆) : 어른 모실 때의 세 가지 허물
ㆍ삼족(三族) : - 조(躁, 시끄럽게 떠듬)
은(隱, 숨기는 것) 신(信, 믿음이 없음)
ㆍ삼대(三代) : ① 중국 상고시대 하(夏) 은(殷) 주(周)의 삼조(三朝)
ㆍ삼대(三代) : ② 자기를 중심으로 한 조(組)
자(子) 손(孫)
ㆍ삼덕(三德) : 지(智) 인(仁) 용(勇)
ㆍ삼경(三庚) : 삼복(三伏)
ㆍ삼상향(三上香) : 삼분향(三焚香)
ㆍ삼공(三公) : 영의정 좌ㆍ우의정
ㆍ삼우(三友) : 송(松) 죽(竹) 매(梅)
ㆍ삼교(三敎) : 유(儒) 불(佛) 선(仙)
ㆍ삼족(三族) : ① 부모 형제 처자
ㆍ삼족(三族) : ② 부모 형제 자손
ㆍ삼족(三族) : ③ 친족 외족(外族) 처족(妻族)
ㆍ삼권(三權) : 입법 사법 행정
ㆍ삼친(三親) : 부자 형제 부부
ㆍ삼남(三南) : 충청 전라 경상도의 총칭(하삼도-下三道)
ㆍ삼순(三旬) : 한달 - 순(旬)은 열흘. 즉, 상순(上旬) 중순(中旬) 하순(下旬)
ㆍ삼은(三隱) : 목은(牧隱, 이색) 포은(圃隱, 정몽주) 야은(冶隱, 길재)
■ 4(四)
ㆍ사교(四敎) : ① 시(詩) 서(書) 예(禮) 락(樂)의 교육
ㆍ삼족(三族) : ② 문(文) 행(行) 충(忠)
신(信)의 교육
ㆍ사관(四館) : 성균관(成均館) 예문관(藝文館) 승문원(承文院) 교서관(校書館)
ㆍ사성(四聖) : 공자, 석가, 예수, 마호멧트 또는 소크라테스
ㆍ사명산(四名山) : 금강산(동) 구월산(서) 지리산(남) 묘향산(북)
ㆍ사배(四配) : 공자묘에 배향(配享)한 안자(顔子) 자사(子思) 증자(曾子) 맹자(孟子)의 사현인(四賢人)
ㆍ사보(四寶) : 필(筆,붓) 묵(墨,묵) 지(紙,종이) 연(硯,벼루) - 사우(四友)
ㆍ사서(四書) : 대학(大學) 중용(中庸) 논어(論語) 맹자(孟子)
ㆍ사색(四色) : 노론(老論) 소론(少論) 남인(南人) 북인(北人)
ㆍ사유(四維) : ① 건(乾) 곤(坤) 간(艮) 손(巽) - 서북 서남 동북 동남의 방위
ㆍ삼족(三族) : ② 예(禮) 의(義) 염(廉,청렴함)
치(恥,부끄러움) - 국가유지의 수칙
ㆍ사정(四正) : 동서남북 즉, 십이간지(十二干支)중 묘(卯) 유(酉) 오(午) 자(子) 방향
ㆍ사조(四祖) : 부(父) 조(組) 증조(曾祖) 외조(外祖)
ㆍ사진(四盡) : 수진어(水盡漁, 물없는 고기) 산진수(山盡獸, 산없는 짐승) 전진곡(田盡穀, 밭이
없는 곡식)
ㆍ삼족(三族) : 촌진인(村盡人, 마을 없는
사람)
ㆍ사촌척(四寸戚) : 성이 다른 사촌 즉, 내ㆍ외종과 고종사촌
ㆍ사천(四天) : 창천(蒼天)-春, 호천(昊天)-夏, 민천(旻天)-秋, 상천(上天)-冬
ㆍ사행(四行) : 효(孝) 제(悌,고경함) 충(忠) 신(信)
ㆍ사칙(四則) :가(加) 감(減) 승(乘) 제(除)
ㆍ사군자(四君子) : 매(梅) 란(蘭) 국(菊) 죽(竹)
ㆍ사궁(四窮) : 환(鰥,홀아비) 과(寡,과부) 고(孤,고아) 독(獨,자손이 없는 사람)
ㆍ사기(四氣) : 온기(春) 열기(夏) 저기(秋) 한기(冬)
ㆍ사단(四端) : 인(仁) 의(義) 예(禮) 지(智) - 측은(惻隱) 수악(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
ㆍ사대(四代) : 우(虞) 하(夏) 은(殷) 주(周)의 사시대(四時代)
ㆍ사대(四大) : 도(道) 천(天) 지(地) 왕(王)
ㆍ삼족(三族) : - 도대(道大) 천대(天大)
지대(地大) 왕역대(王亦大)
ㆍ사대가(四大家) : 이조시대 한학의 사대정종(正宗)
이정균 월사(1564∼1635) 대제학 예조판서
신흠 상촌(1566∼1628) 부제학 병조판서
장유 해곡곡(1587∼1638) 대제학 우의정
이식 택당(1584∼1647) 대제학 이조판서
ㆍ사덕(四德) : 원(元)-춘 형(亨)-하 이(利)-추 정(貞)-동
ㆍ사례(四禮) : 관(冠) 혼(婚) 상(喪) 제(祭)
ㆍ사맹(四孟) : 사계절의 첫 달 (孟春 孟夏 孟秋 孟冬)
ㆍ사민(四民) : 사(士) 농(農) 공(工) 상(商)
■ 5(五)
ㆍ오경(五經) : 역경(易經) 시경(詩經) 서경(書痙) 예경(禮經) 춘추(春秋)
ㆍ오경(五更) : 밤을 다섯으로 나눈 칭호, 여기에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를 붙여
오야(五夜)라 일컬음.
ㆍ삼족(三族) : - 인시(寅時)를 말하기도 함=새벽3시∼5시)
ㆍ삼족(三族) : - 초경(甲夜)-술시 : 오후
07시∼오후 09시
ㆍ삼족(三族) : - 이경(乙夜)-해시 : 〃
09시∼ 〃 11시
ㆍ삼족(三族) : - 삼경(병夜)-자시 : 〃
11시∼오전 01시
ㆍ삼족(三族) : - 사경(丁夜)-축시 : 오전
01시∼ 〃 03시
ㆍ삼족(三族) : - 오경(戊夜)-인시 : 〃
03시∼ 〃 05시
ㆍ오계(五戒) : 불교의 오계율(五戒律) 즉,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 망어(妄語)
음주(飮酒)
ㆍ삼족(三族) : - 오악(五惡)
ㆍ오곡(五穀) : 쌀(米) 수수(高粱) 보리(麥) 조(粟) 밤(太)
ㆍ오교(五交) : 세교(勢交) 회교(賄交) 논교(論交) 궁교(窮交) 양교(量交)의 다섯가지 옳지않은사람
ㆍ오금(五金) : 금 은 동 철 석
ㆍ오근(五根) : 눈(眼) 귀(耳) 코(鼻) 혀(舌) 몸(身)
ㆍ오기(五氣) : 온기(溫氣) 양기(?氣) 한기(寒氣) 조기(躁氣) 습기(濕氣)
ㆍ오대(五帶) : 열대 남북 온대 남북 한대
ㆍ오덕(五德) : ① 손자(孫子) - 지(智) 신(信) 인(仁) 용(勇) 엄(嚴)
ㆍ삼족(三族) : ② 유교 - 온(溫) 양(良)
공(恭) 검(儉) 양(讓)(유교)
ㆍ오령(五靈) : 기린(麒麟) 봉황(鳳凰) 귀(龜) 용(龍) 백호(白虎)
ㆍ오례(五禮) : 길례(吉禮,제사) 흉례(凶禮,상례) 빈례(賓禮,빈객) 군례(軍禮,군진) 가례(嘉禮,혼예)
ㆍ오미(五味) : 신맛(酸) 쓴맛(苦) 매운맛(辛) 단맛(甘) 짠맛(?)
ㆍ오복(五福) : 수(壽) 부(富) 강령(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
ㆍ오병(五兵) : 도(刀) 검(劍) 모(矛) 극(戟) 시(矢)
ㆍ오부(五父) : 실부(實父) 양부(養父) 계부(繼父) 의부(義父) 사부(師父)
ㆍ오상사(五上司) : 의정부(議政府) 돈영부(敦寧府) 의빈부(儀賓府) 충공부(忠勳府) 중추부(中樞府)
ㆍ오색(五色) : 청(靑) 홍(紅) 적(赤) 백(白) 흑(黑)
ㆍ오성(五聲) : 궁 상 각 치 우(오음)
ㆍ오성(五星) : 목성(동) 화성(남) 금성(서)수성(북) 토성(중앙)
ㆍ오지(五識) :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의 심지(心識)
ㆍ오옥(五玉) : 창옥(靑玉) 적옥(赤玉) 황옥(黃玉) 백옥(白玉) 현옥(玄玉)
ㆍ오종(五宗) : 고조(高祖) 증조(曾祖) 조(組) 자(子) 손(孫)의 5대(代)
ㆍ오작(五爵) : 공(公) 후(候) 백(佰) 자(子) 남(男) 5등작(等爵)
ㆍ오지(五指) : 무지(엄지) 식지 장지(중지) 무명지 소지
ㆍ오행(五行) :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
■ 6(六)
ㆍ육경(六卿) : 여섯 사람의 대신 즉, 육조판서
ㆍ육덕(六德) : ① 지(智) 신(信) 인(仁) 충(忠) 의(義) 화(和)
ㆍ삼족(三族) : ② 지(智) 신(信) 인(仁)
용(勇) 의(義) 예(禮)
ㆍ육극(六極) : 천지(天地)와 사방(四方) - 6합(六合)
ㆍ육신(六臣) : 사육신(死六臣) - 이개 하위지 유성원 유응부 성삼문 박팽연
ㆍ삼족(三族) : 생육신(生六臣) - 이맹전 조여
원호 김시습 성담수 남효온
ㆍ육법(六法) : 나라의 기본법(헌법 형법 민법 상법 민ㆍ형사소송법)
ㆍ육예(六藝) : 예(禮) 락(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
ㆍ육정(六情) : 희(喜) 로(怒) 애(哀) 락(樂) 애(愛) 악(惡)
ㆍ육서(六書) : 상형(像型) 회의(會意) 지사(指事) 형성(形聲) 전주(傳注) 가차(假借)
ㆍ육척(六戚) : 부(父) 모(母) 형(兄) 제(弟) 처(妻) 자(子) - 육친
ㆍ육순(六順) : 군의(君義) 신행(臣行) 부자(父慈) 자효(子孝) 형애(兄愛) 제경(弟敬)
ㆍ육행(六行) :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락(樂)
ㆍ육화(六花) : 눈(雪)
■ 7(七)
ㆍ칠경(七經) : 시경(詩經) 서경(書痙) 예경(禮經) 악경(樂經) 역경(易經) 논어(論語) 춘추(春秋)
ㆍ칠거(七去) : 불순구고(不純舅姑) 무자(無子) 음투(淫?) 악질(惡疾) 다언(多言) 절도(竊盜)
ㆍ삼족(三族) : - 칠거지악
ㆍ칠서(七書) : 사서(대학 중용 론어 맹자)와 삼경(주역 시전 서전)
ㆍ칠보(七寶) : 금 은 유리 차거 산호 마노 파리
ㆍ칠성(七星) : 천추(天樞), 선(璇), 기(璣) 권(權) 옥형(玉衡) 개양(開陽) 요광(搖光)
ㆍ삼족(三族) : - 칠성(북두칠성)
■ 8(八)
ㆍ팔고조(八高組) : 조(組)의 조(組), 조(組) 의외조(外祖), 외조의 조, 외조의 외조,
ㆍ팔고조(八高組) : 조모(祖母)의 조, 조모의
외조, 외조모(外祖母)의 조, 외조모의 외조
ㆍ팔질(八?) : 80세의 별칭
ㆍ팔괘(八卦) : 건(乾) 태(兌) 상(?)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
ㆍ팔체(八體) : 서법의 8가지, 고문 대전 소전 예서 팔분 해서 행서 초서
ㆍ팔진미(八珍味) : 순모(淳母) 순오(淳熬) 포양(?양) 포돈(포돈) 외진(도진) へ(오) 궤(궤)
간형(료)
ㆍ팔풍(八風) : 팔방의 바람
ㆍ삼족(三族) : 명서풍(동) 청명풍(동남)
경풍(남) 저풍(서남) 창합풍(서) 불주풍(서북) 광막풍(북) 융풍(동북)
ㆍ팔모(八母) : ① 적모(嫡母) - 서자가 부의 적실(정처)을 일컬음
ㆍ삼족(三族) : ② 계모(繼母) - 생모가 아닌
부의 후처
ㆍ삼족(三族) : ③ 양모(養母) - 양어머니
ㆍ삼족(三族) : ④ 자모(慈母) - 친모의 사후에
양육해 준 서모
ㆍ삼족(三族) : ⑤ 가모(嫁母) - 부의 사후에
타인에게 개가한 친모
ㆍ삼족(三族) : ⑥ 출모(出母) - 부와 이혼하고
가출한 친모
ㆍ삼족(三族) : ⑦ 서모(庶母) - 부의 첩
ㆍ삼족(三族) : ⑧ 유모(乳母) - 젖어머니
■ 9(구)
ㆍ구배(九拜) : 계상배, 돈수배, 공수배, 길배, 흉배, 기배, 포배, 숙배, 진근배
ㆍ구족(九族) : 고조로부터 증조, 조, 부, 자기, 자, 손, 증손, 현손(玄孫)에 이르는
ㆍ삼족(三族) : 직계친을 중심으로 하여 방계친으로
고조의 4대손되는 형제 ,종형제,
ㆍ삼족(三族) : 재종형제, 삼종형제를 포함하는
동종친족과 외조부, 외조모,
ㆍ삼족(三族) : 이모의자, 장인, 장모, 고모의자,
매의자,여의자(외손)를 일컫는 말
ㆍ구규(九逵) : 인체에 있는 9개의 구멍 (눈, 코, 입, 귀, 요도, 항문)
ㆍ구동(九冬) : 겨울철 90일(3동)
ㆍ구사(九思) : 시명(視明) 청총(聽聰) 안온(顔溫) 자공(姿恭)
ㆍ삼족(三族) : 언충(言忠) 사경(事敬) 의문(疑問)
염난(念難) 득의(得義)
ㆍ구덕(九德) : 충(忠) 신(信) 경(敬) 강(剛) 유(柔) 화(和) 고(固) 정(貞) 순(順)
ㆍ구오(九五) : 왕위
ㆍ구질(九秩) : 90세의 별칭
ㆍ구천(九天) : 하늘을 아홉 방위로 나눈 것을 일컬음(九野)
ㆍ삼족(三族) : 균천(중앙) 창천(동) 변천(동북)
유천(서북) 호천(서) 염천(남) 주천(서남) 현천(북) 양천(동남)
ㆍ구천(九泉) : 깊은 땅속 황천, 묘지
■ 10(十)
ㆍ십오야(十五夜) : 음력 8월15일
ㆍ십장생(십장생) : 장생불사하는 열가지
ㆍ십장생(십장생) : - 일(日), 산(山),
수(水), 석(石), 운(雲), 송(松), 불로초(不老草), 균(龜), 학(鶴), 록(鹿) |
작가는 특별한 사람이 아닙니다.. 지금 이시간에 자판을 두드리고 계시는 아재,할배께서 바로 "작가"이십니다..
글들을 읽고나서 짤막한 댓글 하나씩 남겨주시면, 글쓰시는 다른 아재,할배께서도 기쁨을 느끼십니다.! 김이오.넷 (kim25.net) 홈페이지 운영자 : 시조에서 36代 , 학봉 16代 金在洙 010-9860-5333
|